알고리즘이란?
코딩을 하기 위해서는 어떤 절차와 과정을 거쳐 프로그램을 만들 것인지를 정하는 알고리즘이 필요합니다. 이처럼 알고리즘을 구상하는 것이 코딩의 기초 단계입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딩이 어려운 어린학생들을 위해 명령어가 적힌 블록을 마우스로 옮기고 연결하는 것만으로 프로그램을 만들 수있는 블록방식의 코딩툴들이 개발되어 있고, 이런 툴들을 이용한 알고리즘교육을 통해 어릴적부터 컴퓨터적인 사고를 기르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알고리즘
알고리즘(algorithm)은 주어진 문제를 논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절차, 방법, 명령어들을 모아놓은 것입니다. 넓게는 사람 손으로 해결하는 것, 컴퓨터로 해결하는 것, 수학적인 것, 비수학적인 것을 모두 포함합니다.
컴퓨터는 정확하게 무엇을 해야 할지 처리 내용과, 처리 순서를 모두 구체적으로 알려 주어야만 제대로 명령을 수행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프로그램에 알고리즘이 필요한 것입니다.
(천재학습백과 초등 소프트웨어 용어사전, 천재교육)
왜 SW중심사회라 하는가?
EU, 앱산업에서 2018년까지 480만개 일자리 창출 전망 –미래창조과학부-
미국은 앞으로 10년간 SW전문인력 100만명가량 부족예상 –한국경제신문-
2020년까지 SW전문인력 7만명이상 채용 – 삼성전자 –
앞으로 10년간 미국의 백만의 일자리는 공석으로 남을 지 모른다, 왜냐하면 전체학교의 10%만 학생들에게 프로그램을 가르치기 때문이다. 앞으로 10년간 100만명의 프로그래머가 더 필요할 것이다.
<< 통계로 본 SW중심사회 >>
SW는 21세기 창조경제시대 국가경쟁력을 견인하는 핵심
* 개발원가 중 SW가 차지하는 비중(%) – 2012년도
통신기기 53, 자동차 52, 항공 51, 의료서비스 46
*SW는 그 자체로 거대한 시장
ㅇ 세계시장에서 IT주도권이 HW에서 SW중심으로 빠르게 재편 중
* 시가총액 세계 100대 기업 중 SW기업 비중: (’90년) 15% → (’12년) 37%
* 세계 SW시장규모=자동차+반도체+휴대폰 시장을 합한 규모
ㅇ 기존의 기업용(은행, 병원, 회사 등) SW중심에서 일반사용자용(SNS, 온라인게임, 클라우드, 앱 등) SW중심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미 우리의 일상생활 깊숙이 들어와 있음
ㅇ 새로운 일자리가 대부분 SW관련 분야에서 발생
*과학기술용어를 통해 본 SW중심사회
다음의 IT관련 용어는 SW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은 SW기반산업으로 급격히 확장되는 미래산업의 핵심용어 입니다
가상현실, 증강현실
일상에 스며드는 사물인터넷 IOT : Internet of Things(사물인터넷)
빅데이터 Big Data
클라우드컴퓨팅
인공지능, 로봇, 무인자동차
손에서 놓지않고 있는 스마트폰, 일할 때는 사용하는 컴퓨터 등 IT와 떼려야 뗄 수 없게 변하는 생활환경의 변화와 기술의 발전에 소프트웨어가 숨을 불어넣고있습니다
2013.10.08 “sw혁신전략” 관계부처합동 자료에서 인용
컴퓨팅 사고력 자세히 알아보기
컴퓨팅 사고(Computing Thinking)는 창의 컴퓨팅의 핵심입니다.
>>데이터를 모으고 조작하기
>>문제를 구조화하고 추상화하기
>>절차식 사고로 문제해결 자동화하기컴퓨팅사고력이란?
– 지넷 윙의 컴퓨팅 사고력의 정의
컴퓨터 과학자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을 위한 기반 기술
문제해결, 시스템 설계, 인간 행동에 대한 이해
어려운 문제를 우리가 해결할 수 있는 문제로 재구성
재귀적 사고
크고 복잡한 문제를 맞닥뜨리거나 크고 복잡한 시스템을 설계 할 때 추상화와 분해를 사용
최악의 상황에 대한 시나리오를 예방·보호·회복
해결책을 찾기 위하여 휴리스틱 추론 사용
⇒ “컴퓨팅 사고력은 문제를 수립하고 해결책을 만들어 컴퓨팅 시스템을 통해 효과적으로 수행되도록 표현하게 하는 사고 과정□ 컴퓨팅 사고력 교육의 필요성ο 문제 해결 과정에 있어 우위를 점할 수 있음
– 컴퓨팅 사고력은 사람이 사용하기는 하지만 인지하지 못했던 사고과정에 필요한 다양한 기법들(순차, 반복, 알고리즘 구현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학습
– 이러한 기법을 통해 문제 해결에 보다 체계적인 접근이 가능하며 빠르게 해결 가능ο 다양한 교과와 접목 가능
–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진 현 시점에 컴퓨팅 사고력은 실생활에서부터 다양한 학문 분야까지, 간단한 문제에서 복잡한 문제까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적인 역량
– 정규 교육과정의 각 교과에는 현대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해결해야 할 문 제들이 존재하며 이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각 교과의 개념 학습 가능
– 컴퓨팅 사고력은 다양한 분야에서 융합의 동력을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융합의 핵심을 관통하는 능력을 갖추게 함ο 컴퓨팅 사고의 차원을 확장시켜주는 역량
– 복잡한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서의 자신감
– 어려운 문제를 다루는 인내력
– 모호성에 대한 저항력
– 개방형(open ended)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 공통의 목표 혹은 해결책을 달성하기 위해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하고 협력하는 능력
더보기
힘코딩은
어릴 때부터 SW를 배우는 일이 즐거울 뿐아니라, 급히 변화하는 세상에 충분히 대비할 수 있도록 환경조성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뿐아니라 프로그래밍기본과정부터 자격증, 경진대회, 발명교실 및 입시까지 기초부터 최상위 활용부문까지 지도할 충분한 역량과 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힘코딩과 함께 세상의 중심에 서세요!
정부의 코딩교육정책
정부의 SW교육 정책
-
초중등 SW교육 본격 확산 산업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대학 SW교육 혁신,
- 민관협력으로 친(親) SW문화확산 등 3대 분야 12개 과제를 중점 추진하여, 2020년까지 초․중등생에 대한 SW교육을 통해 창의적 아이디어를 SW로 구현할 수 있는 문제해결력을 갖춘 ‘미래형 창의인재’를 양성하고, 산업계의 수요*에 부응코자, 대학 재정지원사업의 활용과 ‘SW중심대학’ 운영 등을 통하여 2018년까지 SW 전문인력을 중점 양성하여 인력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SW교육은 창의적 아이디어를 SW로 구현하는 사고력 교육이며, 초중등 학생들에게 SW교육이란 쉬운 것이고, 스스로 즐겁게 익힐 수 있고, 몰입과정에서 저절로 심화되는 교육이 되어야 합니다.